어떻게 하지?

시험관 이식 후 임신 주수별 피검 수치, 낮은 피검수치보다 중요한 것

기다림愛 2023. 10. 18. 07:48

*시험관 이식 후 임신 주수별 피검 수치

주수 상태 평균 hCG hCG범위
mIU/ml
40
75 50~100
41
150 100~200
42
300 200~400
43
700 400~1000
44 태낭 확인 1,710 1,050~2,800
45 태낭 확인 2,320 1,440~3,760
46 태낭 확인 3,100 1,940~4,980
50 태낭 확인 4,090 2,580~6,530
51 태낭 확인 5,340 3,400~8,450
52 태낭 확인 6,880 4,420~10,810
53 난황 보임 8,770 5,680~13,660
54 난황 보임 11,040 7,220~17,050
55 난황 보임 13,730 9,050~21,040
56 난황 보임 15,300 10,140~23,340
60 심장 박동 16,870 11,230~25,640
61 심장 박동 20,480 13,750~30,880
62 심장 박동 24,560 16,650~36,750
63 배아 눈에 보임 29,110 19,910~43,220
64 배아 눈에 보임 34,100 25,530~50,210
65 배아 눈에 보임 39,460 27,470~57,640
66 배아 눈에 보임 45,120 31,700~65,380

 

임신 수치(hCG)란?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는

임신 중에만 만들어지는데

수정란이 착상 된 후 수치가 나타난다.

산모의 혈액과 소변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임신 초기에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며

10주차에는 정점에 도달했다가

이후부터는 수치가 서서히 감소한다.

 

시험관 이식 후 피검 수치 통과 기준은?

 

시험관 이식 후 임신 반응 검사는 혈액검사,

일명 피검을 통해 이뤄진다.

일반적으로 1차 피검일에 hCG 수치(임신 수치)가

100 이상이면 임신이라고 판정하는데,

그 기준을 50 이상으로 두는 병원도 있다.

시험관 이식을 기준으로 1차 피검을 통과했다면

임신 4주 0일차에 접어든 것이다.

피검 수치에서 중요하게 볼 것이 또 하나가 있다.

바로 더블링이다.

일반적인 임신이라면 2일마다 피검 시

hCG 수치가 150~200% 이상 상승해야

착상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낮은 피검 수치라고 해서 이른 실망은 금물!

1차와 2차 피검 사이에서 더블링이 잘 되고 있다면

지금 뱃속에서 열심히 힘내고 있는 아기에게

걱정보다는 격려의 말을 건네길 빈다.

 

물론 피검 수치가 낮은 것이 긍정적인 징조는 아니다.

시험관은 채취 이후부터 이식 전까지

배양실의 정밀하고 체계적인 환경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정확한 주수에 맞게 착상하고

아기집과 난황, 심장박동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긴 하다.

그러나 아기는 의외로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강하다.

낮은 피검 수치에서 시작해

현재는 안정적으로 임신을 유지하고 있거나

성공적으로 출산하여 정신없이 육아에 빠져 있는 이들이

내 주변에도 있다.

 

낮은 피검 수치를 보이는 경우 아기집도

일반적인 속도보다 더디게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임신 성공 실패 여부는

hCG만으로 판단하지는 않으므로

hCG 수치만 본다면 1500~2000,

아기집이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고 해도

3,510 정도까지는 기다려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