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GT검사
- 이식후영양제
- 시험관
- 프로게스테론수치
- 냉동이식
- 류코스팀
- 낮은피검수치
- 냉동이식처방약
- 면역글로블린주사
- PGT
- 지노플로
- 눈사람배아
- 시험관냉동이식
- 유트로게스탄
- 시험관 #40대시험관 #시험관전원
- 프롤루텍스
- 신선이식
- 듀파스톤
- 타이유
- PGS검사
- 이식후생활
- 40대시험관
- 임신갑상선
- 임신중메티마졸
- 냉동이식후처방
- 소론ㄷ
- 피검
- 감자배아
- 낮은프로게스테론수치
- 임신중갑상선약
Archives
- Today
- Total
우리들의 해피엔딩
시험관 인공주기와 자연주기 이식 차이점 본문
지금까지 4번의 신선이식,
1번의 냉동이식을 했다.
그리고 지금은 생애 2번째로
5일배아 냉동이식을 준비 중이다.
첫 번째 냉동이식은 자연주기로 시작했다가
배란이 평소보다 늦어지는 바람에
인공주기로 방향을 틀어
결국 변형자연주기 형태로 이식을 하게 됐고,
이번에는 아예 처음부터 인공주기로
시험관 아기 시술을 진행하게 됐다.
시험관 인공주기 vs 자연주기 이식 차이점?
동결배아를 이식할 때
생리주기가 일정한 사람은
자연주기를 이용해서 배란이 확인된 뒤에
적절한 날짜를 잡아 이식을 하게 된다.
보통은 배란되는 날로부터 5일 후가 이식일이다.
자연주기는 자궁내막과 배란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인공주기에 비해 내원횟수가 많을 수 있다.
반면 생리주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섬세한 내막 관리가 필요한 경우,
또는 자주 내원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인공주기로 동결배아를 이식하게 된다.
프로기노바로 자연 배란을 억제하는 동시에
내막 두께를 키우기 때문에
이식에 유리한 자궁 내 상태는 물론이고
시술 일정을 조정하기에도 유리하다.
몸의 상태는 사람마다 또 매달 다르기 때문에
나처럼 중간에 자연주기에서 인공주기로 바꾸어
시험관 아기 시술을 시도하기도 한다.
처음이 아닌데도 마치 처음인 듯 설레고 떨린다.
4번의 3일배아 신선이식에서는
1번의 화유와 2번의 임신(유산)을 경험했고,
1번의 5일배아 냉동이식은
임신 수치도 보지 못한 채 종료됐었다.
부디 몇 년 만에 찾아온 냉동이식의 기회가
임신이라는 기쁜 소식이라는 열매로 영글길 빈다.
아자아자!!
반응형
'어떻게 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대 시험관] 이식 후 영양제 끊어야 할까? (1) | 2023.10.30 |
---|---|
40대 시험관 │이식을 위한 프로기노바 복용 시간 (1) | 2023.10.28 |
착상하기 좋은 자궁 내막 두께 키우는 방법 (1) | 2023.10.24 |
시험관 3일 배아 세포기와 착상 시기 (1) | 2023.10.23 |
시험관 채취 이식 후 쉬어가는 이유 (0) | 2023.10.20 |